ETF / ETN 정의
ETF (Exchange Traded Fund - 상장지수 펀드)
- KOSPI200, KOSPI50과 같은 특정지수의 수익율을 얻을 수 있도록 설계된 지수연동형 펀드 (Index Fund).
- 인덱스 펀드와 뮤추얼 펀드의 특성을 결합한 상품
- 인덱스 펀드와는 달리 거래소에 상장되어 일반 주식처럼 자유롭게 사고팔 수 있다.
ETN (Exchange Traded Note - 상장지수 채권)
- ETN은 ETF(상장지수 펀드)와 마찬가지로 거래소에 상장되어 자유롭게 사고팔 수 있는 채권이다.
- 주로 증권사가 자사의 신용을 기반해 발행하며 기초지수의 수익률에 연동하여 수익 지급을 약속하는 것.
- ELS에 비해 구조가 단순하고 만기 이전 반대매매가 가능하다.
ETF / ETN 개념
ETF 개념
- 정의에서 볼 수 있듯, ETF는 펀드의 한 종류로 볼 수 있다.
- 일반적인 펀드와의 차이점
- 주식시장에 상장되어 있어 일반주식과 마찬가지로 즉시 매수 / 매도가 가능하다.
- 일반펀드에 비해 수수료 / 보수가 낮다. (1% 미만)
- 대부분 Index(지표) 펀드이다.
- 요약하자면 자산운용사에서 개발한 자율매매 주식 간접투자 상품으로 이해 할 수 있다.
- KOSPI 200을 추종하는 ETF를 예를 들자면
- KODEX200(삼성증권) / TIGER200(미래에셋대우) / KBSTAR200(KB증권).. 등이 있다.
- KODEX, TIGGER 등은 각 증권회사에서 붙이 펀드의 브랜드명.
- KOSPI 200 기업의 시가총액 비율에 맞추어 포트폴리오를 구성하여
KOSPI 지수(Index)의 움직임에 맞춰 수익/손실이 발생하는 상품. - 증권사별로 비슷한 포트폴리오 구성으로 비슷한 가격, 트렌드를 보임.
ETN 개념
- 기본적으로 수익구조는 ETF와 크게 다르지 않지만, 근본적인 발행형태가 채권으로 전혀 다름.
- ETF는 운용사가 포트폴리오에 담은 주식 종목에 투자를 하는 개념인 반면,
- ETN은 발행사의 신용을 믿고 돈을 빌려주는 개념이다. 곧, 발행사에 투자하는 개념.
- ETN은 채권형태로 신용위험이 존재하므로 자격요건이 되는 증권사에서만 발행 가능.
- ETF에 비해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.
- ETF는 추적오차가 존재하지만 ETN은 추적오차가 없다.
- 요약하자면 증권사에서 개발한 자율매매 채권 파생상품으로 이해할 수 있다.
ETF / ETN 비교 요약
- 수익구조는 ETF와 ETN은 유사함.
- ETN보다 ETF가 신용위험이 없어 비교적 안전한 편
- ETF보다 ETN은 다양한 상품구성을 가지고 있음.
-> ETF와 ETN에 같은 기초지수를 추종하는 상품이 있다면 비교적 안전한 ETF를 추천
'Invest > Stoc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Stock Basic] 피터 린치. 주식 유형 정리 2. 대형우량주 (0) | 2020.03.10 |
---|---|
Stock Basic] 피터 린치. 주식 유형 정리 1. 저성장주 (0) | 2020.03.09 |
Stock Basic] 적정주가 구하는 과정 2. (0) | 2020.02.25 |
Stock Basic] 적정 주가 구하는 과정 1. (0) | 2020.02.24 |
Stock Basic] ROE 개념 - 적정주가 구하기 (0) | 2020.02.23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