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Invest/Stock

Stock Basic] ETF와 ETN은 무엇? ETF / ETN 개념정리

by €€£¥ 2020. 3. 8.

 

ETF / ETN 정의

ETF (Exchange Traded Fund - 상장지수 펀드)

  • KOSPI200, KOSPI50과 같은 특정지수의 수익율을 얻을 수 있도록 설계된 지수연동형 펀드 (Index Fund).
  • 인덱스 펀드와 뮤추얼 펀드의 특성을 결합한 상품
  • 인덱스 펀드와는 달리 거래소에 상장되어 일반 주식처럼 자유롭게 사고팔 수 있다.

ETN (Exchange Traded Note - 상장지수 채권)

  • ETN은 ETF(상장지수 펀드)와 마찬가지로 거래소에 상장되어 자유롭게 사고팔 수 있는 채권이다.
  • 주로 증권사가 자사의 신용을 기반해 발행하며 기초지수의 수익률에 연동하여 수익 지급을 약속하는 것.
  • ELS에 비해 구조가 단순하고 만기 이전 반대매매가 가능하다.

 

 ETF / ETN 개념

ETF 개념

  • 정의에서 볼 수 있듯, ETF는 펀드의 한 종류로 볼 수 있다.
  • 일반적인 펀드와의 차이점
    1. 주식시장에 상장되어 있어 일반주식과 마찬가지로 즉시 매수 / 매도가 가능하다.
    2. 일반펀드에 비해 수수료 / 보수가 낮다. (1% 미만)
    3. 대부분 Index(지표) 펀드이다.
  • 요약하자면 자산운용사에서 개발한 자율매매 주식 간접투자 상품으로 이해 할 수 있다.
  • KOSPI 200을 추종하는 ETF를 예를 들자면
    1. KODEX200(삼성증권) / TIGER200(미래에셋대우) / KBSTAR200(KB증권).. 등이 있다.
    2. KODEX, TIGGER 등은 각 증권회사에서 붙이 펀드의 브랜드명.
    3. KOSPI 200 기업의 시가총액 비율에 맞추어 포트폴리오를 구성하여
      KOSPI 지수(Index)의 움직임에 맞춰 수익/손실이 발생하는 상품.
    4. 증권사별로 비슷한 포트폴리오 구성으로 비슷한 가격, 트렌드를 보임.

ETN  개념

  • 기본적으로 수익구조는 ETF와 크게 다르지 않지만, 근본적인 발행형태가 채권으로 전혀 다름.
  • ETF는 운용사가 포트폴리오에 담은 주식 종목에 투자를 하는 개념인 반면,
  • ETN은 발행사의 신용을 믿고 돈을 빌려주는 개념이다. 곧, 발행사에 투자하는 개념.
  • ETN은 채권형태로 신용위험이 존재하므로 자격요건이 되는 증권사에서만 발행 가능.
  • ETF에 비해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. 
  • ETF는 추적오차가 존재하지만 ETN은 추적오차가 없다.
  • 요약하자면 증권사에서 개발한 자율매매 채권 파생상품으로 이해할 수 있다.

 

ETF / ETN 비교 요약

  • 수익구조는 ETF와 ETN은 유사함.
  • ETN보다 ETF가 신용위험이 없어 비교적 안전한 편
  • ETF보다 ETN은 다양한 상품구성을 가지고 있음.

  -> ETF와 ETN에 같은 기초지수를 추종하는 상품이 있다면 비교적 안전한 ETF를 추천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