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<자기자본 이익률 - R.O.E (Return On Equity)>>
- 기업은 자산을 통해 이익을 낸다.
- 기업의 이익창출능력은 총 자산 수익률, 기업수익률 (R.O.A)로 평가된다.
** R.O.E 판단 tip **
-
R.O.E가 최소 은행 그리보다 높아야 투자 메리트가 있다.
- R.O.E가 5%~ 20%인 기업이 적정 투자 대상, 10% 이상이면 수익성이 높은 회사로 판단한다.
- 지난 실적 R.O.E보다 1년 후 예상 R.O.E가 중요하다. (2년의 예상 실적도 참고 필요)
cf. 주의점
- R.O.E가 높다하더라도 PER가 지나치게 높다면 투자수익 기대하기 어렵다.
- 지난 실적 R.O.E보다 예상 R.O.E가 중요하지만 예상 실적은 어디까지나 애널리스트가 “예상”한 수치 이므로 기간 경과와 기업 환경 변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.
'Invest > Stoc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Stock Basic] PER 개념 - 적정주가 구하기 (0) | 2020.02.21 |
---|---|
[Stock Story] 저평가 종목을 고르는 4가지 방법 - 3편 EV/EVIDTA (0) | 2018.02.08 |
[Stock Story] 저평가 종목을 고르는 4가지 방법 - 2편 EPS & PER (0) | 2018.02.07 |
[Stock Story] 주식시장 매매체결 및 가격결정 원리 (0) | 2018.02.01 |
[Stock Story] 주식 매매주문 방법의 종류 (0) | 2018.02.01 |
댓글